DMD 마우스 모델 소개
뒤센 근이영양증(DMD)은 X-연관 열성 질환으로, 가장 심각한 유전성 신경근육 질환 중 하나이다. 진행성 근력 약화 및 신경퇴행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,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근이영양증 형태이다. DMD는 주로 남성에게 영향을 미치며, X 염색체의 DMD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. 이 돌연변이는 세포골격과 세포외기질을 연결하는 중요한 단백질인 디스트로핀의 결핍을 초래한다. 디스트로핀은 주로 골격근과 심근 세포의 세포질 측에 위치하며 뇌에서도 발현된다.
DMD 환자에서는 디스트로핀 결핍으로 인해 세포막의 구조적 안정성이 손상되고, 막 투과성이 증가한다. 이로 인해 세포외 단백질 및 칼슘 이온이 유입되고, 크레아틴 키나제와 같은 세포내 성분이 누출된다. 이러한 이상은 염증 반응과 세포자멸 경로를 촉진하여 근섬유 변성 및 괴사, 섬유화 조직 증식을 초래한다.
Biocytogen의 DMD 모델 요약
Model type |
Model names |
Modeling reagent |
Core Index |
Optional tests |
Duchenne muscular dystrophy (DMD) |
B-Dmd KO(del45-50) mice |
- |
Grip strength test Rotarod test |
Inflammation analysis |
B-hDMD(exon44-46, del45) mice |
- |
Grip strength test Rotarod test |
Inflammation analysis |
결과
B-Dmd KO(del45-50) 마우스의 유전자 타겟팅 전략
B-Dmd KO(del45-50) 마우스의 유전자 타겟팅 전략.
B-DMD KO(del45-50) 마우스에서 마우스 Dmd 유전자의 엑손 45-50이 결손되었다.
B-Dmd KO(del45-50) 마우스의 DMD 단백질 발현 웨스턴 블롯 분석. 야생형 C57BL/6JNifdc 마우스 (+/+)와 B-Dmd KO(del45-50) 마우스 (-/Y)에서 여러 조직 용해물을 수집하였다. DMD는 야생형 마우스의 심장, 골격근, 피부에서 검출되었으나, 동형 접합 B-Dmd KO 마우스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.
B-Dmd KO 마우스의 운동 기능 평가
야생형 C57BL/6JNifdc (5개월령) 및 동형접합 B-Dmd KO(del45-50) 마우스 (5개월령)에서 운동 기능 평가. A, 그립 강도 테스트 결과 동형접합 B-Dmd KO 마우스의 앞다리 힘은 약 20 N/kg로, 야생형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약했다. 모든 그립 강도 측정값은 개체 체중에 대해 정규화되었다. B, 로타로드 테스트는 운동 조정력을 평가했으며, 동형접합 B-Dmd KO 마우스에서 낙하 지연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했다. 값은 평균 ± SEM으로 표시하며, t-검정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평가했다. **p < 0.01, ***p < 0.001.